2009년 8월 12일 수요일

우분투(ubuntu) BIND - DNS zone file 추가

beanie.uxmn 도메인을 추가하자

 

#vi /etc/bind/named.conf.local

이 파일의 끝에 다음을 추가 한다

 

zone "beanie.uxmn" {

            type master;

            file "beanie.uxmn.zone";

};

 

 

그리고 /var/cache/bind로 이동하여

 

beanie.uxmn.zone 파일을 새로 만들어 내용을 담는다.

=== 참고

여기서 기존에 있는 파일하나를 복사해서 수정하는 방법으로 작업하였다.

#cp esgmn.uxmn.zone beanie.uxmn.zone

그리고 다음 내용으로 수정하였다

 

 

$TTL        604800

@          IN       SOA     lee.beanie.uxmn.      root.beanie.uxmn.    (

                                    2006030801        ; Serial  

                                    604800

                                     86400

                                  2419200

                                    604800   )

 

;

         IN       NS       ns.esgmn.uxmn.

;        IN       MX 10  mail

         IN       A         10.10.10.97  

;

lee              IN        A                10.10.10.97

www           IN        CNAME       lee

mail             IN        A                10.10.10.97

ftp               IN        CNAME        lee

 

이렇게 입력한 내용을 잘 살표보자.

SOA 레코드의 입력부분에서 마침표 조심하고,

         IN      NS     ns.esgmn.uxmn. 여기서 IP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트명을 사용했다.

이렇게 하면 ns.esgmn.uxmn 의 IP가 변경되어도 여기서는 변경할 것이 없다.

SOA에서 lee 라는 호스트명을 사용했기때문에 A 레코드에 lee 라는 엔트리가 반드시 있어야겠다.

^^

 

CNAME 을 사용하는 것은 서버를 이전하였을때 일일히 수정하지 않고 기본 호스트만 IP를 바꿔도 되는 익점이있다...  단 .... 단.... 단....

mail 호스트에 대해서는 CNAME을 쓸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 주세요 ^^

 

여기서도 아직 메일서버가 설정이 안되어서 MX 레코드는 설명문으로 남겨 두었다.

 

#/etc/init.d/bind9 restart

대몬을 다시 시작하고

 

#dig ns beanie.uxmn

 

#host -al beanie.uxmn

 

#host www.beanie.uxmn

#host mail.beanie.uxmn

#host ftp.beanie.uxmn

 

CNAME 과 A 레코드의 host 명령어 결과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여기까지가 DNS 서버를 구성하여 네임서버를 캐쉬서버나 아니면 도메인서버로 사용하는 방법의 설명이 끝났다.... 사실 좀 더 남긴 남았는데... master 와 slave 의 설정 하는 방법을 설명하여야 하는데 그것 좀 뒤에 하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