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12일 수요일

우분투 ubuntu 5.10 서버모드 설치

처음 시디 부팅때 프롬프트 나오면

server 이라고 치고 엔터 한다

 

그리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설치 하는 부분은 모두 생략

사용자 등록에서 esgmn으로 ID를 주었다.

호스트명은 ux510svr.esgmn.uxmn으로 주었다

 

설치가 완료되고 리부팅 후

 

$sudo -s

password:

 

--- 처음부터 root로 사용자를 바꾸고 작업한다... 우분투의 기본정책을 따라서 root로 로그인은 안함.

 

#vi /etc/hosts 파일을 편집

 

127.0.0.1      ........ ux510svr.esgmn.uxmn 에서 이 호스트명 만 지우고

10.10.10.97    ux510svr.esgmn.uxmn    ux510svr

한 줄을 추가 한다.

=====> 이것만으로도 로컬에서 ux510svr을 찾아 갈 수 있다.

 

/etc/network/interfaces 를 수정한다

 

맨 아랫줄에 있는 iface eth0 inet dhcp 를 커멘트 시키고 (맨 앞에 #을 붙이고)

다음을 추가 한다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0.10.10.97

          netmask  255.255.255.0

          gateway  10.10.10.1

 

이렇게 추가 저장하고 나옴

 

#/etc/init.d/networking restart

하고

#ifconfig

로 확인해 본다

#netstat -nr 혹은 -r

Flags항목에 UG가 게이트웨이 이다.

 

=============================================

참고로

여기서 사용한 IP와 Netmask와 gateway는 자신의 환경에 맞추어 설정해 주어야 한다.

 

========

나의 환경

========

adsl 모템에 유무선공유기를 연결하여 내부 네트웍을 사용한다.

유무선공유기는 dhcp 서버를 가지고 있고

자신의 local IP가 10.10.10.1 이다 -- 이것이 내부 네트웍에서 게이트웨이가 됨.

dhcp  서버의 아이피군은 10.10.10.101에서 50개로 되어있어서

static(정적) IP로 100에서 2번까지 사용한다.

 

서버컴퓨터는 인텔보드에 2 CPU Xeon 2.6G에 2GB 메모리를 가지고 있고

윈도우 XP를 설치하고 VM을 이용하여 ubuntu-5.10을 설치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